NAT란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줄임말로 간단하게 말하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의미합니다.
(NAT의 기술적인 로직은 다른 기술블로그를 참고)
1. 간단하게 NAT이란?
처음 들어보면 이게 무엇인지 감이 오지 않을 것입니다.
쉽게 이해하기 상황을 예시로 들겠습니다.
사실 우리들은 이 기술을 항상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시로 집집마다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고 가족구성원 모두 공유기를 통해 wifi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통신기기가 통신을 하려면 각 통신기기마다 고유한 네트워크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 왜 통신기기마다 고유한 주소를 가져야 하는가? 우리가 택배 배송을 받을 때 주소를 적는 것과 비슷한 이유이다.
아파트 동 번호를 공유기 주소, 호수를 핸드폰 주소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동 번호만 적으면 택배기사님이 제대로 배송을 못하기 때문에 호수번호도 적는 것처럼
통신기기도 자신만의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즉 집에 설치된 공유기를 통하여 wifi를 이용하고 있는 가족들의 핸드폰은 각각 네트워크 주소를 가지고 있는 상태인 것입니다.
어떻게 가족들의 핸드폰은 공유기 1대로 각각 다른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었을까???
이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NAT입니다.
그림 1과 같이 공유기 1대에 여러 통신기기가 연결되어 있고 공유기는 연결된 통신기기에게 각각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해 주었습니다.
실제로 필자의 공유기의 NAT 상태를 확인해 보면
1대의 공유기가 여러 통신기기에 IP주소를 할당해 주었습니다.
2. 사용 이유
NAT은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입니다.
위에서 통신기기는 통신하기 위해서 고유한 네트워크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었습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한 사람이 여러 통신기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IPv4의 주소표현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외부망(공인 IP)과 내부망(사설 IP)을 나누어 주소 부족 문제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집에 설치되어있는 공유기는 공인 IP를 가지고 있고 공유기는 연결된 기기에 사설 IP를 할당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우리는 NAT 기술을 이용하여 공유기한테 사설IP를 할당받고 외부와 통신을 하고 있는 겁니다.
댓글